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zipWith
- GC
- wagon-ssh
- Hotspot VM
- tcp
- closeable
- 코딩테스트
- execution engine
- intelij
- try-catch-finally
- try-with-resources
- 동작방식
- circuitbreaker
- 날짜쿼리
- webflux
- springboot
- java
- n+1
- Kotlin
- 4-way-handshake
- feign
- Runtime data area
- Class Loader
- jvm
- resilience4j
- try-catch
- jetbrain
- AutoCloseable
- optional
- 람다표현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4)
JuBin's personal study blog

# nohup 설명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작업할 떄 사용하는 명령어. nohup은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지 않고 , 사용자가 명령행 뒤에 '&'를 붙여야 한다. HUP(Hangup) 시그널을 무시하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떄 사용. 명령어 nohup [명령] & 실습 1) nohup [root@localhost /]# echo hello hello [root@localhost /]# nohup echo hello (nohup java -jar HDBSNC_API-0.0.1-local-jubin.jar -Dspring.profiles.active=production &_ nohup: ignoring input and appending output to `nohup.out' 이 화면..

# EC2(Elastic Compute Cloud) / ELB(Elastic Load Balancing) #로드밸런싱의 정의 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때 여러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버의 로드율을 증가시키고, 부하량, 속도저하등을 고려하여 적절시 분산처리를 해주는 서비스이다. #로드밸런싱의 장점 고가의 서버로 확장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서버를 증설하여 경제적으로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대량트래픽으로 1대의 서버로 부하율이 높아지면 L4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합리적으로 부하분산을 처리할 수 있다. 1대의 서버가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 중단없이 다른 서버로 분배하여, 서비스가 계속 운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후 사용량이 많아 서버확장을 해도 ..

AWS EC2(Elastic Compute Cloud) - 독립된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서비스(AWS의 대표적인 서비스 EC2) # EC2 특징 컴츄팅 요구사항의 변화에 따라 컴퓨팅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새로운 서버 인스턴스 확보 및 부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따. 실제로 사용한 용량만큼만 지불 가능 Linux / Widows 두가지 선택 가능 안정성을 위해 여러 AWS 리전과 가용 영역에 걸쳐 배포 # EC2 사용 이점 컴퓨터의 필요한 만큼 크기 설정 가능.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제어권 제공.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 스토리지 관리 효과적 # EC2 인스턴스 EC2에서 인스턴스 유형에 사용되는 자원 CPU 메모리 스토리 네트워킹 용량 인스턴스 유형 종류 범용(General Purpose) :모..

1. 공인 IP (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이다. 공용 IP 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2. 사설 IP (Private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며,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 나 장치에 할당된다. 2.1. 사설I..

Overview 이 글은 Jackson의 ObjectMapper 클래스를 이해하는 것과 자바 오브젝트를 JSON으로 시리얼라이징하거나 JSON 문자열을 자바 오브젝트로 디시리얼라이징 하는 방법에 집중하여 작성되었다. 일반적인 Jackson 라이브러리에 대해 더욱 이해하고 싶다면 Jackson Tutorial이 시작하기에 알맞을 것이다. Dependencies 우선 (maven인 경우) pom.xml에 다음과 같이 종속성을 추가한다. maven : com.fasterxml.jackson.core jackson-databind 2.11.0 gradle: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fasterxml.jackson.core/jackson-databind compi..

만일 SNS 로그인을 한 번이라도 구현해보려고 하셨다면, OAuth를 한 번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SNS 로그인 = OAuth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OAuth 프로토콜의 기능 중 하나로 SNS 로그인이 있는것입니다. Oauth Oauth 는 외부서비스의 인증 및 권한부여를 관리하는 범용적인 프로토콜입니다. * 권한 : OAuth는 인증뿐만 아니라 권한도 관리합니다.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가 다르도록 설정이 가능합니다. * 프로토콜 : 특정한 프로그램을 지칭하는게 아니라 일종의 규격(약속)입니다. Facebook, Google, Naver 등은 OAuth라는 규격에 맞춰 인증 및 권한을 대행관리 해줍니다 * 외부서비스 : 우리가 만들고 있는 서비..

OAuth2.0이란 각종 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타사의 API를 사용하고 싶을 때 권한 획득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입니다. OAuth2.0 OAuth2.0이란 각종 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타사의 API를 사용하고 싶을 때 권한 획득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입니다. 간단하게는 로그인에서부터 각종 API를 보다 안전하고 편하게 사용하게 해줍니다. 여러분은 많은 웹 서비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문구를 많이 보셨습니다. “facebook으로 로그인”,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Naver로 로그인” 이러한 기능으로 여러분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회원가입 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존에 사용하던 서비스들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OA..

OAuth(Open Authentication, Open Authorization) , 유저 자신이 가진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Authorization)과 자신이 누구인지 나타내는 인증(Authentication)에 대한 프로토콜 OAuth 공식 문서에서의 예시 내차는 차키가 두종류 있다. 하나는 기본차키(모든기능을 다가지고있음), 또하나는 발렛용 차키 발렛용 차키는 1~2KM 정도만 운전이 가능하고, 트렁크도 열수없고, 차문도 열수없다.(접근권한 Authorization) 키를 소유한 차 주인(나) (인증, Authentication) 키 (AccessToken) Resource Owner : 보호된 Resource에 접근할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Entity >>>> 예시에서 자신의 자동차(Resou..

[네트워크 분야] TCP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OSI 7계층에 전송계층(4 Layer)에 위치함.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낸정보를 제대로 받았는지 확인 해주고 다시 메세지를 서버에게 전달하여 전달 받지 못할때 재 전송을 서버에 요청 할 수 있다. 3 handshaking 방식을 사용함 UDP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OSI 7계층에 전송계층(4 Layer)에 위치함. TCP와 다르게 단방향 통신이다.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리밍과 같은 통신에 적합 OSI 7계층 7 - 응용 DHCP, DNS, FTP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6 - 표현 JPEG, MPEG, SMB, HTTP 운영체제의 한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로 반환한다. 5 - 세션 SSH..
웹 통신의 큰 흐름 우리가 Chrome을 실행시켜 주소창에 특정 URL 값을 입력시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in 브라우저 1. url에 입력된 값을 브라우저 내부에 결정된 규칙에 따라 그 의미를 조사한다. 2. 조사된 의미에 따라 HTTP Request 메시지를 만든다. 3. 만들어진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만들어진 메시지 전송은 브라우저가 직접하는 것이 아니다. 브라우저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출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OS에 의뢰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직접 보내는게 아니라, 이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택배 시스템(택배 회사)을 이용하여 보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단, OS에 송신을 의뢰할 때는 도메인명이 아니라 ip주소로 메시지를 받을 상대를 지정해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