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etbrain
- GC
- 람다표현식
- closeable
- Kotlin
- 코딩테스트
- springboot
- 동작방식
- try-catch-finally
- AutoCloseable
- optional
- tcp
- webflux
- 4-way-handshake
- Hotspot VM
- jvm
- try-catch
- feign
- Runtime data area
- execution engine
- resilience4j
- wagon-ssh
- java
- Class Loader
- intelij
- zipWith
- n+1
- try-with-resources
- circuitbreaker
- 날짜쿼리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5)
JuBin's personal study blog

TCP와 UDP는 모두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이다. 💬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을 제공하는 계층이다.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며,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등 제어를 담당한다. TCP TCP는 연속성보다 신뢰성이 있는 전송이 중요할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이다. 💬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이다.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때문에 UDP보다는 속도가 느리다.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3-way-handshaking 과정으로 연결을 설정하고, 4-way-handshaking 과정으로 연결을 해제한다. 3-way-handshaking과 4-way-handshak..

1. 브라우저의 URL 파싱 해당 요청이 들어오면 브라우저는 Protocol / URL / Port 을 해석한다. HTTP의 기본포트는 80, HTTPS는 433번 포트를 사용한다. 2.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목록 조회 HSTS란 HTTP를 허용하지 않고, HTTPS만 허용하는 기능이다. HTTP로 요청이 왔다면 HTTP 응답 헤더에 "Strict Transport Security"라는 필드를 포함하여 응답하고 이를 확인한 브라우저는 해당 서버에 요청할 때 HTTPS만을 통해 통신하게 된다. 이 목록을 HSTS 목록이라 부른다. 브라우저는 HSTS목록 조회를 통해 해당요청을 HTTPS로 보낼지 판단한다. HTST목록에 해당 URL이 존재한다면 HTTP로 요청해..

1. 공인 IP (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이다. 공용 IP 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2. 사설 IP (Private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며,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 나 장치에 할당된다. 2.1. 사설I..
웹 통신의 큰 흐름 우리가 Chrome을 실행시켜 주소창에 특정 URL 값을 입력시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in 브라우저 1. url에 입력된 값을 브라우저 내부에 결정된 규칙에 따라 그 의미를 조사한다. 2. 조사된 의미에 따라 HTTP Request 메시지를 만든다. 3. 만들어진 메시지를 웹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만들어진 메시지 전송은 브라우저가 직접하는 것이 아니다. 브라우저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출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OS에 의뢰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직접 보내는게 아니라, 이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택배 시스템(택배 회사)을 이용하여 보내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단, OS에 송신을 의뢰할 때는 도메인명이 아니라 ip주소로 메시지를 받을 상대를 지정해야 하는..

DNS는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명으로 부터 대응하는 IP 주소를 검색하여 취득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DNS에서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 사진출처 : https://www.netmanias.com/ko/post/blog/5353/dns/dns-basic-operation 1.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통해 "www.naver.com"이라는 도메인에 접근 요청을 합니다. 2-(1). 로컬(Local Hosts : c:\windows\system\drivers\etc\hosts)에 해당 도메인에 대한 기록이 있는경우- >바로 연결 2-(2). 없다면 Root dns(.)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 root dns는 전 세계에 13대가 구축되어 있다고 합니다. 3. root dns로 부터 com DNS의 주소를 얻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