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Bin's personal study blog

Spring Boot 정리 본문

Spring

Spring Boot 정리

JuBin 2020. 9. 20. 19:35
반응형
  • Spring이 컴포넌트 스캔할땐 @SpringBootApplication에 선언된 패키지 하위에서만 스캔한다.
  • 스프링컨테이너는 @Component이 붙은것들을 스프링이 올라갈때 기본적으로 스프링컨테이너에 1개의 인스턴스만 등록해놓는다. 다른곳에서 @autowired로 의존성 주입시 스프링컨테이너에 이미 만들어진 인스턴스만 사용(메모리절약됨)
  • 의존성 주입시에는 생성자를통한 의존성주입을 선호한다.
  • 보통 정형화된 클래스(컨트롤러,서비스,리포지토리)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해주고 정형화되지 않거나 구현클래스(구현체)를 변경해야 하면 SpringConfig(@Configuration이 붙은 class) 같은 설정파일을 통해 @Bean을 써서 스프링컨테이너에 등록해준다.

 

 

반응형